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compatible nanoparticle and its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compatible nanopart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compatible nanopart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compatible nanopart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compatible nanoparticle formed by inducing molecular cross-linking or intra-molecular cross-linking, and its us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ug delivery, contrast agent, diagnostic agent, . The biocompatib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ree from toxicity problems due to the incorporation of an organic solvent or a crosslinking agent and do not require a separate purification process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It is also excellent on the side. In addition, th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useful in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rug delivery system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rast agent compositions, and intestinal adhesion inhibitors.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나노입자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당(polysaccharide), 이의 유도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 수용액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분자 간 가교결합(inter-molecular cross-linking) 또는 분자 내 가교결합(intra-molecular cross-linking)을 유도하여 형성된 생체적합성 나노입자 및 이의 약물 전달체, 조영제, 진단제, 장유착방지제 또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도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나노입자는 유기용매 또는 가교제의 혼입에 따른 인체 내 독성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고, 그 제조과정 중 별도의 정제과정이 필요치 않아 짧은 시간의 전자빔 조사만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약물전달체, 약학적 조성물, 조영제 조성물, 장유착방지제 등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