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S] Even in a thin type sanitary napkin, a three-dimensional gathers structure which prevents not only a high effect of blocking body fluids when placed on a wearer, but also prevents the body fluids from falling inward. The side nonwoven fabric 7 is folded in the folded state to have a lower layer side folded surface 7a and an upper layer side folded surface 7b and an upper layer side folded surface 7b with an upper layer side folded surface 7b The inner side elastic member 8 is disposed in the widthwise intermedi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n-joined region 14 of the upper side folded surface 7b and the outer side edge portion 7b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edge portion 4a of the absorbent body. And standing from the inner elastic member 8 to the inner side edge portion 13a of the bonding region by rising from the inner side edge portion 13a of the bonding region 13 as the starting point in the standing state,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inner elastic member 8 acts as a contact surface Gd for the skin at the time of attachment and the portion acting as the contact surface Gd per skin is in contact with the napkin width Direction.[과제] 박형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도 장착 시에 위화감 없이 체액을 막아내는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안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 입체 개더 구조로 한다.[해결수단] 개킴상태에서 사이드 부직포(7)가 접힘으로써 하층 측 접힘면(7a)과 상층 측 접힘면(7b)를 가지며, 상층 측 접힘면(7b)에 이 상층 측 접힘면(7b)을 흡수체 측연(4a)보다 외측으로 연재시킨 외측연출대(7c)가 설치되며, 상층 측 접힘면(7b)의 비접합영역(14)에 대응하는 폭 방향 중간부에 내측 탄성부재(8)가 배치되어 있고, 기립상태에서 접합영역(13)의 내측 가장자리부(13a)를 기점으로 해서 피부 측으로 기립함으로써 내측 탄성부재(8)로부터 접합영역의 내측 가장자리부(13a)까지의 사이가 기립벽(Gc)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내측 탄성부재(8)보다 외측 부분이 장착 시에 피부 당접면(Gd)로서 작용하고, 피부 당접면(Gd)로서 작용하는 부분이 개킴상태보다 기립상태 쪽이 냅킨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