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sett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using orthodontic clinical big data.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setting method using the orthodontic clinical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setting device, obtaining the orthodontic clinical data for each patient to generate big data; The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setting device, obtaining a tooth image of the patien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setting device, identifying at least one orthodontic region including the orthodontic tooth and the adjacent tooth from the patient's tooth image; Determining, by the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setting apparatus, learning data including dental characteristic data and orthodontic data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region, based on the big data and the orthodontic regio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model setting device, based on the tooth characteristic data and the orthodontic data, includes a movement characteristic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he adjacent tooth and a movement pattern of teeth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between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he adjacent tooth Determining diagnostic data to be performed; And the transparent calibration model setting apparatus, comprising configuring each layer based on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and the movement pattern. Other embodiments may be possible.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치아 교정 임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투명 교정 모델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임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투명 교정 모델 설정 방법은,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가, 환자 별 치아 교정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가, 환자의 치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가, 상기 환자의 치아 영상에서 교정 대상 치아와 인접 치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대상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가, 상기 빅데이터 및 상기 교정 대상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교정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치아 특성 데이터 및 교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가, 상기 치아 특성 데이터 및 상기 교정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교정 대상 치아와 상기 인접 치아의 이동 특성 및 상기 교정 대상 치아와 상기 인접 치아간 배치에 따른 치아의 이동 패턴을 포함하는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