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ttom surface (210) having a square shape container lateral surface (230) and a container upper lateral surface connecting end part of the container lateral surface. The grain container also includes: a container member (200) which includes grains comprising rice inside, and a through hole (211) in a shape of hole on the container bottom surface a first drawer (320) which is sealed and has a filling hole (321) which penetrates an upper and lower side and a second drawer (330) which is sealed and empty and installed to be pulled and pushed to a front direction.COPYRIGHT KIPO 2015본 발명은 사각의 저장통 바닥면(210)과 상기 저장통 바닥면의 4 테두리와 각각 수직 연결된 전면(231), 좌측면(232), 후면(233) 및 우측면(234)를 포함하는 4개의 저장통 측면(230) 및 상기 4개의 저장통 측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저장통 상측면을 포함하며, 내부에 쌀을 포함하는 곡물이 포함되되, 상기 4개의 저장통 측면 중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으로부터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며 하향되어 상기 저장통 바닥면과 연결된 경사면(220)이 형성되어, 상기 저장통 바닥면이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방향으로 상기 저장통 상측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 바닥면에 구멍 형태의 투과홀(211)이 형성된 저장통 부재(200) 밀폐된 형태로서, 상기 저장통 바닥면 아래에서 상기 저장통 바닥면과 밀착되어 전면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설치되고,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홀의 위치와 일치되는 수직 아래에서 일정한 부피를 갖도록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충진홀(321)이 형성된 제1 서랍(320) 속이 빈 밀폐 형태로서, 상기 제1 서랍 아래에서 상기 제1 서랍의 하측면과 밀착되어 전면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제2 서랍(3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랍의 상측면은, 상기 제1 서랍과 상기 제2 서랍이 모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진홀을 밀폐시키고, 상기 제2 서랍은 완전히 인입되고 상기 제1 서랍은 일정 간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진홀의 위치와 일치되는 수직 아래에 토출홀(331)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충진홀에 충진된 곡물이 상기 제2 서랍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곡물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 타입에 의해 단순화된 구조만으로 정량의 곡물을 쉽고 정확하게 인출할 수 있는 곡물 저장통을 제공할 수 있다.